티스토리 뷰
재산세 신용카드 납부 방법, 카드 혜택, 주의사항을 한눈에 확인하세요
자산@ 2024. 10. 18. 20:19재산세 신용카드 납부는 매년 부동산 소유자에게 부과되는 지방세를 보다 편리하게 납부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산세 신용카드 납부 방법과 다양한 혜택, 주의사항에 대해 상세히 안내드리겠습니다.
재산세, 언제 얼마나 내야 할까?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 부과되며, 이 세금은 7월과 9월에 나누어 납부해야 합니다. 납부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차 납부: 7월 16일 ~ 31일 대상: 주택(50%), 건축물, 선박, 항공기
- 2차 납부: 9월 16일 ~ 30일 대상: 토지, 주택(나머지 50%)
카드로 재산세 내면 이런 점이 좋아요
재산세를 신용카드로 납부하면 여러 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먼저,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아 경제적입니다. 이는 납세자의 부담을 줄여주는 정책의 일환으로, 더욱 많은 사람들이 카드를 통해 납부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이벤트를 통해 추가 혜택도 누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한카드에서는 지방세 납부 금액의 0.1%를 현금 캐시백으로 제공하며, 우리카드에서는 재산세 납부 시 부분 무이자 할부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혜택은 특히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고, 납부의 편리함을 더해줍니다.
그러나 납부 기한을 넘길 경우 3%의 가산금이 부과되니, 반드시 기한 내에 납부해야 합니다.
재산세 납부 방법
재산세 납부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납부하실 수 있습니다:
- 위택스 (Wetax):
- 서울시 ETAX:
- STAX 모바일 앱다운로드:
- 은행/ATM 납부
- ARS 납부:
- 위택스 ARS: 1599-3900
- 서울시 ETAX ARS: 1544-3800
이 외에도 여러 납부 방법이 있으니, 본인의 상황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2024년 재산세 납부 카드 혜택
아래 표는 2024년에 제공되는 각 카드사별 재산세 납부 카드 혜택을 정리한 것입니다.
재산세 카드 납부 혜택
카드사 | 카드 종류 | 카드명 | 혜택 내용 | 혜택 기간 |
신한카드 | 체크카드 | 개인 체크카드 | 지방세 납부 금액의 0.1% 현금 캐시백 | ~2024.09.30 |
우리카드 | 신용카드 | 전체 신용카드 | 재산세 납부 시 부분 무이자 할부 (10/12개월) | ~2024.09.30 |
NH농협카드 | 신용카드 | 전체 신용카드 | 국세 및 지방세 5만원 이상 할부 결제 시 무이자 | ~2024.12.31 |
하나카드 | 신용카드 | 전체 신용카드 | 국세 및 지방세 5만원 이상 할부 결제 시 부분 무이자 | ~2024.09.30 |
BC카드 | 신용카드 | BC그린카드 | 국세·지방세 결제 시 에코머니포인트 적립 | ~2024.09.30 |
KB국민 | 체크카드 | 직장인보너스체크카드 | 국세/지방세 건당 10만원 이상 결제 시 7천원 환급 할인 | 상시 |
이 표를 통해 각 카드사의 혜택을 비교하여 본인에게 가장 유리한 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각 카드사의 혜택은 변경될 수 있으니, 실제 납부 전 해당 카드사 홈페이지나 고객센터를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재산세 신용카드 납부는 수수료가 없어 경제적이며, 다양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납부 기한을 준수하고 본인의 카드로 받을 수 있는 구체적인 혜택을 잘 확인하여 가장 유리한 방식으로 납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마트폰을 통해 쉽게 납부할 수 있는 만큼, 미리 준비하여 세금 납부를 놓치지 않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