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교직원공제회 장기저축급여 특징 퇴직급여율 장단점
자산@ 2024. 2. 23. 16:45한국 교직원 공제회는 교육부 소속으로 설립된 교직원 복지를 위한 중요한 기관입니다. 그 중에서도 장기저축급여 는 교직원들의 노후를 준비하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교직원 공제회 장기저축급여의 특징
교직원들을 위한 연금과 유사한 형태의 급여로, 공립 및 사립 학교, 병원 등 근무자들이 이용 가능합니다. 이 급여는 높은 급여율과 안정성이 주요 장점으로 꼽힙니다.
현재의 퇴직급여율
현재의 퇴직급여율은 연복리 3.74%로 적용되며, 이는 2019년 9월 1일 이후에 납입한 금액에 적용됩니다.
장기저축급여의 장단점
장기저축급여 는 복리 형태의 이율로 연금을 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세금 혜택도 존재하며, 교직원공제회 를 통한 대출 제도가 제공됩니다. 하지만 최소 20년 이상 유지해야 하는 점과 노후 대비에 부족한 금액일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노후준비 대안
장기저축급여 외에도 노후준비를 위해 연금저축펀드나 국내 ETF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추가 정보
단리와 복리의 차이, 세금 혜택의 중요성, 그리고 교직원공제회 의 대출 제도 등에 대한 정보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퇴직 시 받을 수 있는 금액 예시
납입구좌 |
10년 |
15년 |
20년 |
25년 |
30년 |
100구좌 |
8,698,560원 |
14,402,660원 |
21,256,260원 |
29,491,000원 |
39,385,200원 |
300구좌 |
26,095,690원 |
43,208,000원 |
63,768,790원 |
88,473,000원 |
118,155,620원 |
700구좌 |
60,889,950원 |
100,818,670원 |
148,793,850원 |
206,437,010원 |
275,696,450원 |
1200구좌 |
104,382,780원 |
172,832,010원 |
255,075,170원 |
353,892,020원 |
472,622,500원 |
한국 교직원 공제회 장기저축급여 는 교직원들의 노후를 위한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선택지입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산을 증가시키고 노후를 준비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교직원들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금융 전략을 선택하기 위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