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4대사회보험료 모의계산 건강보험, 국민연금, 산재보험, 고용보험료 간단히 알아보기
자산@ 2024. 9. 2. 23:17사회보험료는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에게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4대 사회보험료 모의계산 은 개인의 보험료 부담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번 블로그 포스팅에서는 2024년 기준의 4대 사회보험료를 모의 계산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4대 사회보험의 기본 개요
4대 사회보험은 국민의 건강과 소득 보장을 목적으로 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다음은 4대 사회보험의 기본적인 내용입니다:
- 국민연금 보험 : 이 보험은 소득활동 중단 시 연금을 지급하여 경제적 안정을 돕습니다. 주로 본인과 유족이 지급 대상입니다.
- 건강 보험 :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운영하며, 고액 진료비를 방지하고 의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산재 보험 : 산업 재해를 입은 근로자를 보호하며, 국가가 사업주를 대신하여 보상합니다. 1964년 도입되었습니다.
- 고용 보험 : 실직 시 급여를 지급하고, 직업 능력 개발 및 재취업을 촉진합니다.
2024년도 4대 사회보험료율
각 보험의 요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연금 보험 :
- 요율: 7.09%
- 기준소득월액 상한액: 590만 원
- 기준소득월액 하한액: 37만 원
- 장기요양보험료 :
- 2023년 대비 인상율: 1.09%
- 장기요양보험료 계산법: 건강보험료 × 12.80959%
- 고용보험 :
- 총 요율: 1.8%
- 근로자 부담 요율: 0.9%
- 산재보험 :
- 평균 요율: 1.47% (업종 별 상이)
4대 사회보험료 모의계산 방법
4대 사회보험료 모의계산 을 위해서는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웹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모의계산 을 진행하는 절차입니다:
-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 우측 하단의 '4대 사회보험료 계산기'를 클릭합니다.
- 근무하는 직장의 근로자 수를 선택합니다.
- 월급여를 입력합니다.
- 모의 계산된 4대 사회보험료를 확인합니다.
이렇게 계산된 보험료를 바탕으로 개인의 보험료 부담을 미리 파악할 수 있습니다.
퇴사 시 건강보험료 정산
퇴사 시 건강보험료는 EDI를 통해 상실신고를 진행합니다. 신고문서 목록에서 '건강(초록색)' 처리결과 탭을 더블 클릭하여 퇴직정산 보험료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조회된 보험료는 회사와 직원 부담분이 합산된 금액으로, 직원 급여에 반영할 때는 조회 금액의 50%를 반영합니다.
2023년도 건강보험료 및 장기요양보험료
- 건강보험료 : 직원 부담분은 3.545%입니다.
- 장기요양보험료 : 장기요양보험요율은 0.9082%입니다.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 × 12.80959%로 계산됩니다.
4대 사회보험료 모의계산 을 통해 자신의 보험료를 미리 계산해보는 것은 매우 유용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경제적 계획을 세우고, 예기치 못한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위의 정보를 참고하여 모의계산 을 시도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이해가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 관련 기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다운로드
댓글